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궤변론자(詭辯論者) 역사와 소피스트(Sophist) 영향

by will make world 2023. 4. 28.
반응형

궤변론자(Sophist)는 그 시대에는 존경을 받았지만 다른 사람들을 타락시킨다는 경향으로 진리 추구보다는 실제적인 자신의 실리추구와 성공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궤변론자(詭辯論者) 역사와 소피스트(Sophist)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피스트들이 고대 그리스 사회에 미친 영향

소피스트들은 설득 등 대중 연설을 전문으로 가르치는 고대 그리스의 지식인 집단이었습니다. 그들은 기원전 5세기부터 4세기까지 활동했고 고대 그리스 사회를 형성하는 한 축이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설득과 토론의 예술을 강조한 교수법으로 유명했으며, 그들은 효과적으로 논쟁하는 능력이 정치와 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믿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부유한 가족들에 의해 그들의 아이들에게 설득의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고용되었고, 언변 기술을 향상하는데 관심이 있는 성인 학습자들을 가르쳤습니다.

유명한 소피스트 중 한 명은 프로타고라스였는데 그가 남긴 말은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의 진실은 주관적이고 개인의 관점에 달려 있다는 상대주의에 대한 소피스트의 믿음을 반영합니다. 이 개념은 객관적 진실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에 도전했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에서 논란이 있었습니다.

 


2.  소피스트들에 대한 비판과 철학

서양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인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을 비판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저서 "국가론"에서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의 화술에 대한 강조와 진실에 대한 상대론적 접근을 비판합니다.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이 진실을 발견하는 것보다 논쟁을 이기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언어학에 대한 소피스트들의 접근이 속임수와 조작을 장려한다고 믿었습니다. 대조적으로 플라톤은 지식과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고대 그리스에서 철학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그들의 강조와 전통적인 믿음에 대한 질문은 철학적 전통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객관적 진실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에 도전했고 대중들이 일반적으로 믿는 믿음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격려했습니다. 학문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고대 그리스에서 혁명적이었고 철학의 발전을 위한 기초를 닦았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여러 철학자들은 소피스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플라톤도 그의 철학 저서에서 이 접근법을 채택했습니다.

 


3. 궤변론이 우리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소피스트들의 비판 중 하나는 청중들에게 그들의 관점이 실제로 사실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관점을 설득시키기 위해 예리한 주장과 속임수를 사용하도록 가르쳤습니다. 이러한 강조는 비판적 사고의 감소와 지식인과 전문가에 대한 일반적인 불신으로 이어졌습니다.

다른 부정적인 영향은 진실과 도덕이 주관적이고 사람마다 다르다는 믿음인 상대주의에 대한 그들의 강조였습니다.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에 의해 대중화된 이 생각은 전통적인 가치와 믿음을 훼손하는 도덕적이고 지적인 상대주의로 이어졌습니다. 이것은 고대 그리스 사회의 쇠퇴로 인한 회의론과 냉소주의의 만연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부유한 사람들만 교육에 접근할 수 있어 많은 수업료를 받았습니다. 이는 교육받은 사람들과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 사회적, 경제적 분열을 만들었고, 이것은 사회적 불안과 불평등을 조성하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주장하고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능력은 높게 평가됩니다. 설득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소피스트들의 가르침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언어학과 설득에 대한 그들의 접근법은 현대 정치 캠페인, 광고와 홍보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상으로 궤변론자(詭辯論者) 역사와 소피스트(Sophis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한국 정치와 행정 관료주의 문제점, 나이와 정년 이대로 좋은가

 

한국 정치와 행정 관료주의 문제점, 나이와 정년 이대로 좋은가

21대 국회의원 평균 연령은 54.9세로, 대한민국 전체 평균 연령(43.8세)보다 11.1세 높습니다. 고령화는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고, 관료주의는 폐쇄적이고 보수적이어서 변화와 혁신을 가로막는 문제

curiousstory2.tistory.com

존중(尊重)이 중요한 이유와 표현하는 방법

 

존중(尊重)이 중요한 이유와 표현하는 방법

이 시간에는 인생에서 중요한 덕목인 존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존중은 상대방의 인간성과 가치를 인정하며, 상호적인 관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호 간의 신뢰가

curiousstory2.tistory.com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

이 시간에는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에 대하여 생각해 보겠습니다. 다양한 관점이 있겠지만 사람들은 삶의 목적이 개인의 성장, 다른 사람과의 연결 또는 더 큰 대의에 기여하는 것

curiousstory2.tistory.com

생각의 의미와 인간이 생각하는 이유

 

생각의 의미와 인간이 생각하는 이유

이 시간에는 생각의 의미와 인간이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생각은 인간이나 동물이 지각한 자극을 내부적으로 가공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며, 그에 따른

wealthymindse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