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탁기(Washing machine)역사와 세척 방법,인체 부작용

by will make world 2023. 5. 6.
반응형

세탁기(Washing machine) 세척은 세탁기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유지하고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며, 냄새, 이물질 축적, 곰팡이 또는 흰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은 6개월에 한 번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기계의 수명도 연장하고 청결한 삶을 유지해야 하겠습니다.

 

 

 

1. 세탁기의 역사

 

세탁기는 현대 생활의 필수품이 된 가전제품으로 역사는 150년 정도 되었으며, 세탁기의 발명은 우리가 세탁하는 방식에 혁신을 일으켰습니다.

가장 초기의 세탁기는 비눗물에서 옷을 휘젓는 데 사용되는 간단한 손으로 돌리는 장치였습니다. 세탁기에 대한 최초의 특허 중 하나는 1797년 미국에서 출원되었지만 세탁기가 인기를 얻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반이 되어서였습니다.

1851년 제임스 킹(James King)이라는 미국인이 드럼을 사용하여 옷을 고정하고 핸드 크랭크 장치를 사용하여 옷을 흔드는 세탁기에 대한 특허를 받았습니다. 이 디자인은 1858년 해밀턴 스미스(Hamilton Smith)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그는 회전 드럼과 빨래판을 디자인에 추가했습니다.

1800년대 후반에는 손이나 증기로 구동되는 전기 기계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세탁기가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모델은 비용이 많이 들고 널리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1900년대 초가 되어서야 세탁기가 더 저렴해지고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1907년 미국인 Alva J. Fisher는 Hurley Machine Company에서 제조한 "Thor"라는 최초의 전기세탁기를 발명했습니다.

수년에 걸쳐 발전을 거듭한 세탁기는 더욱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이 되었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자동 타이머, 탈수 사이클 및 세탁을 더욱 쉽게 해주는 기능을 갖춘 자동 세탁기가 도입되었습니다.

오늘날 세탁기는 다양한 필요와 예산에 맞는 다양한 유형과 모델을 갖춘 전 세계 대부분의 가정에서 필수적인 가전제품입니다. 세탁기는 과거의 단순한 수동식 장치에서부터 먼 길을 걸어왔으며 계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통돌이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세탁기 청소 및 세척 방법

 

세탁기의 세균은 화장실 변기 보다 10배 이상 많기 때문에 주기적인 청소와 세척은 꼭 필요합니다. 빨래 세탁하는 깨끗한 세탁기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세척을 해 줘야 합니다. 세탁기는 거름망과 옷가지 등에서 나오는 이물질, 세제 등에 수분이 많이 남아 있어 세균 번식의 온상이며 냄새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세탁기의 세척은 빨래를 건조했는데도 냄새가 난다거나, 이물질이 보이거나 묻어 나온다든가, 세탁기에서 습기 찬 곰팡이 냄새, 구입 후 1년이 되었다면 세척을 6개월마다 해줘야 합니다.



① 외부 청소

부드러운 천이나 젖은 천으로 조작부, 윗면, 옆면 등 세탁기 외부를 닦으세요. 잘 지워지지 않는 얼룩의 경우 순한 세척액을 사용합니다.

 

② 통 세척(드럼 세척)

세탁기에 뜨거운 물(50~60도)을 적당량 채우고 과탄산소다에 소주 1컵(또는 식초 1컵) 또는 세탁조 클리너 등의 살균제나 표백제*를 일정량 넣고 1시간 놔둡니다. 드럼에 옷이 없는 상태에서 평상시 세탁하는 것처럼 수건을 1~2장 넣고 정상적인 주기(불림-세탁-헹굼-탈수)로 기계를 작동하십시오. 식초는 드럼에 쌓인 냄새나 찌꺼기를 제거하며, 과산화수소수 등도 살균과 표백효과가 좋습니다.

 

* 살균제, 표백제 : 과산화수소수, 과탄산소다, 베이킹소다, 세탁조 클리너(과탄산 나트륨),

                           식초, 식초, 락스 등이며 희석 비율은 설명서를 참고하십시오.

  

* 과탄산소다, 락스 사용 시에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줍니다. 

 

③ 세제 디스펜서 청소

세제 디스펜서를 분리하고 뜨거운 물에 몇 분 동안 담급니다. 부드러운 솔이나 천을 사용하여 찌꺼기나 찌꺼기를 닦은 다음 완전히 헹구고 말려서 세탁기에 다시 넣으십시오. 분말 세제보다는 액체로 된 세제가 세균 번식이 적습니다. 

 

④ 필터(거름망) 청소

세탁기의 필터(기계 바닥에 있음)를 확인하고 쌓인 보푸라기, 동전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햇볕에 말립니다.

 

⑤ 고무 씰 청소

젖은 천과 순한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기 도어 주변의 고무 씰을 락스에 30분* 담가놓은 후에 물로 깨끗이 씻은 후에 닦아줍니다. 이렇게 하면 곰팡이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고무 씰은 드럼 세탁기에 해당됩니다. 

 

* 고무 패킹을 장시간(30분 이상) 락스에 담가 놓으면 패킹이 상하므로 30분 정도만 담갔다가 말려줍니다.

 

⑥ 세척 주기 실행

세탁기 세척은 주기적으로 6개월에 1회가량 세척을 하며 청소는 자주 해 주는 것을 권해 드리며,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이 주기를 실행하고 남아 있는 축적물이나 냄새를 제거하십시오.

 

 

3. 세탁기로 인한 인체 부작용

청결하지 않은 세탁기는 염증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녹농균, 식중독을 유발하는 포도산구균, 폐렴균 등 여러 세균들의 번식처며 서식처입니다. 

 

청소와 세척을 하지 않은 세탁기는 인체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가장 일반적인 문제 중 하나는 곰팡이와 흰 곰팡이의 번식으로 기침, 천식,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또한 피부 자극, 눈 자극 및 기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저분한 세탁기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품고 있어 위장 문제, 피부 감염, 심지어 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며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는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상처와 접촉하면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제 잔여물과 섬유 유연제가 쌓이면 특히 피부가 민감하거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의 화학 물질은 발진, 가려움증, 심지어 습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세탁기 청소세척 방법과 불결한 세탁기로 인한 인체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유익한 글

세탁기(Washing machine)역사와 세척 방법,인체 부작용

 

세탁기(Washing machine)역사와 세척 방법,인체 부작용

세탁기(Washing machine) 세척은 세탁기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유지하고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며, 냄새, 이물질 축적, 곰팡이 또는 흰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은 6개월에 한 번 정

curiousstory2.tistory.com

세탁기(통돌이 Top loader, 드럼 Front loader) 장단점 비교

 

세탁기(통돌이 Top loader, 드럼 Front loader) 장단점 비교

세탁기(Washing machine)는 의복, 수건, 이불, 담요 등 섬유품을 깨끗하게 해주는 기계입니다. 세탁물 적재 입구의 위치에 따라 일반 세탁기(Top loader, 통돌이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Front loader) 이렇게

wealthymindset.tistory.com

한국산 진드기 종류와 매개 감염병 예방법

 

한국산 진드기 종류와 매개 감염병 예방법

이 시간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드기 매개 질병은 진드기에 의해 전염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입니다. 1. 진드기 매개 감

curiousstory2.tistory.com

 

반응형

댓글